Bartlett & Freeze (2018) | 정신건강 장애를 가진 아동 및 청소년 | ▪ 질적연구▪ 반구조화된 인터뷰 실시 및 분석▪ 랩어라운드 10가지 기본 원칙 반영 평가▪ 팀 구성: 사회 서비스 부서, 지자체, 상담사, 사회복지사, 경찰, 교장, 교사, 조부모, 어른, 학교, 지역사회 파트너, 커뮤니티 커넥터* | ▪ 인터뷰 결과 지역사회 학교가 랩어라운드 접근 방식의 기본 원칙을 반영하고 있으며, 랩어라운드 접근 방식을 구현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줌 |
Bruns et al. (1995) | 정서 및 행동장애를 가진 8세~18세의 아동 및 청소년 27명 | ▪ 혼합연구▪ 랩어라운드 서비스 사전 사후 행동 변화 측정▪ 인터뷰 등을 통한 주거 및 비용 자료 수집▪ 팀 구성: 아동, 부모, 사례 관리자*, 옹호자, 관련 서비스 제공자 | ▪ 신체적인 공격, 경찰과의 접촉 감소▪ 부적절한 행동 현저히 감소, 긍정적 행동 증가▪ 89%는 기존 지역에 머무름▪ 서비스 평균 비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지만 감소 |
Clark et al. (1996) |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있거나 고위험군인 7세~15세 아동 중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 랩어라운드 또는 표준 위탁 관리를 받는 132명 | ▪ 실험연구▪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, 표준 위탁 관리 집단에 무작위로 배치▪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 집단 아동 지원▪ 두 집단의 배치 상황과 배치 변경 비교▪ 팀 구성: 가족 전문가*, 위탁 가정 담당자, 교사, 치료사, 스카우트 지도사, 보호 가정의 부모, 친부모, 친척 | ▪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 집단 연간 배치 변경 감소, 표준 위탁 관리 집단은 이동 비율 증가▪ 가출은 감소했으며,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 집단은 표준 위탁 관리 집단보다 덜 발생함▪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 집단은 연간 100일 이상 구금된 아동이 없지만 표준 위탁 관리 집단 4명은 연간 200일 이상 구금됨▪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 집단은 ㅍ준 위탁 관리 집단보다 정서 및 행동 조절이 더 좋았으며 가정에 영구적으로 배치될 가능성이 높음 |
Eber et al. (2008) | 학업적, 사회적, 행동적 어려움을 지닌 초등학생 1명 | ▪ 질적연구▪ 랩어라운드 팀 참가자에 대한 인터뷰 실시▪ 팀 구성: 학생, 가족, 교사, 교장, 통역사, 학교 사회복지사*(School Social Work, SSW), PBS 전문가, 보호관찰관 | ▪ 성적 향상 및 출석률 증가▪ DIBELS(Dynamic Indicators of Basic Early Literacy Skills) 점수 증가 |
Eber et al. (1996) | 정서 및 행동장애가 있는 학생 44명 | ▪ 실험연구▪ 세 가지 영역(가족, 아동, 위험)의 위험요인 파악 후 학교 기반 랩어라운드를 받은 학생과 지역사회 기반 랩어라운드를 받은 학생의 사전 사후 비교▪ 팀 구성: 학생, 가족, 교육 및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자*, 기타 서비스 자원봉사자, 친구, 제공자, 조부모 등 가족, 이웃 | ▪ 학교 기반 랩어라운드 학생은 지역사회 기반 랩어라운드 학생보다 아동 행동 체크리스트와 아동 청소년 기능평가 척도에서 더 높은 적응이 나타남 |
Epstein et al. (2005) |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있는 5세~18의 아동 | ▪ 질적연구▪ WOF-2의 항목을 기준으로 1년간 랩어라운드 가족 계획 회의 관찰 및 평가▪ 팀 구성: 가족, 조부모, 치료사, 멘토, 보건 및 복지 서비스 담당자, 이웃, 학교 상담사, 가족 복지사, 돌봄 코디네이터* | ▪ 많이 논의된 삶의 영역- 교육과 가족▪ 적게 논의된 삶의 영역 문화, 약물 남용▪ 많이 나타난 특성- 가족 중심 프로세스, 팀 회의 관리▪ 적게 나타난 특성- 지역사회 자원 활용, 결과 측정 |
Evans et al. (1996) | 심각한 행동장애를 가진 5세~12세의 아동 42명 | ▪ 실험연구▪ 가족 기반 치료▪ 가족 중심 집중 사례 관리 집단에 아동을 배치▪ 부모와 사례 관리자, 가족 전문가의 평가 실시▪ 두 집단의 문제행동 및 지역사회 거주 기간 변화 비교▪ 팀 구성: 사례 관리자, 학부모 옹호자, 가족 전문가* | ▪ 두 집단 모두 문제행동이 감소함▪ 두 집단의 입원 기간은 뉴욕주의 평균적인 공공 정신 건강 서비스 입원 기간보다 짧음▪ 가족 중심 집중 사례 관리 집단 가족은 가족 기반 치료 집단 가족들보다 자녀 문제의 이해, 참여 및 도움 제공, 자녀에 대한 훈육 및 이해, 치료팀에 대한 도움 요청 등에서 더 높은 향상을 보임 |
Hyde et al. (1996) | 랩어라운드 서비스와 전통적 지원 서비스를 받는 심각한 부적응 청소년 106명 | ▪ 혼합연구▪ 서비스를 제공받는 집단에 대한 인터뷰 실시▪ 집단 간 사전-사후 평가점수 변화 확인▪ 팀 구성: 부모, 청소년, 친척, 조부모, 친구, 교회 구성원, 치료사, 기관 직원, 학교 지원, 옹호자, 서비스 제공자, 법률 대리인, 돌봄 코디네이터* | ▪ 랩어라운드 서비스를 받은 집단은 전통적 지원 서비스를 받은 집단보다 지역사회 적응 등급이 높음▪ 랩어라운드 서비스를 받은 집단은 지역사회 참여가 높음▪ 청소년․보호자 만족도는 모두 높지만, 청소년보다 보호자가 더 높은 만족도를 보임 |
Mendenhall et al. (2013) | 캔자스주 지역사회 기반 랩어라운드 서비스를 경험한 심각한 행동장애 소년을 포함한 86명 | ▪ 질적연구▪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 디렉터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통합▪ 대상자, 부모, 자연스러운 지원자, 정신건강센터 직원에게 심층 인터뷰 실시▪ 의료 차트 검토 및 데이터 분석 실시▪ 팀 구성: 청소년, 부모, 서비스 제공자, 자연스러운 지원자, 사례 관리자* | ▪ 캔자스주 랩어라운드 유사성- 랩어라운드 프로그램 목적에 대한 이해- 랩어라운드 실행의 철학▪ 캔자스주 랩어라운드 차이점- 랩어라운드 프로세스 다양성- 랩어라운드 팀 구조- 다단계 랩어라운드 교육 |
Myaard et al. (2000) | 심각한 정서 및 행동장애를 가진 14세~16세의 청소년 4명 | ▪ 실험연구▪ 연구 참여에 동의한 4개의 가족 선정▪ 종속 변수로 일일 조정 지표 체크리스트와 아동 및 기능평가 척도 선정▪ 독립변수로 개별화된 목표 행동에 대한 행동 프로그램, 랩어라운드의 효과 선정▪ 팀 구성: 아동 서비스 기관, 학교 최고 관리자, 부모, 지역대표, 양부모, 친척, 복지사, 행동분석가, 보호관찰관, 교사, 청소년, 친구, 의사, 커뮤니티 커넥터* | ▪ 일일 조정 지표 체크리스트- 또래 상호작용, 물리적 공격성, 알코올/약물 사용, 극단적 언어폭력이 사라지거나 개선됨▪ 아동 및 청소년 기능평가 척도- 3개월마다 측정, 마무리 단계 및 후속 단계에서 평가 척도 점수가 크게 감소 |
Painter (2012) | 심각한 정서장애를 가진 5세~18세의 아동 160명 | ▪ 실험연구▪ 임상의를 통해 아동의 자격을 평가▪ 기초선부터 24개월까지 6개월마다 가족을 만나 행동 및 정서 평가 척도, 청소년 우울 척도, 콜로비아 손상 척도 평가▪ 팀 구성: 랩어라운드 촉진자, 랩어라운드 팀 | ▪ 11세 이상 청소년에 비해 11세 미만 청소년들은 상당한 수준의 변화 발생▪ 12세 이상의 청소년들은 우울 척도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를 발견함▪ 청소년들의 불안척도와 콜로비아 손상 척도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를 발견함▪ 청소년들은 ‘행동 및 정서 강점’을 간병인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평가함 |
Scott & Eber (2003) | 정서 및 행동적 어려움을 보이는 초등학생 2명 | ▪ 질적연구▪ PBS 단계의 FBA와 랩어라운드 적용 사례 제시▪ 팀 구성: 부모, 교사, 사회복지사, 의사, 친척, 심리학자, 교회 목사, 배구 코치, 특수 교사, 상담사* | ▪ FBA와 랩어라운드는 PBS의 여러 수준에서의 일관된 협업 및 분석 사례를 제공함▪ 랩어라운드와 FBA는 PBS의 3단계인 가장 복잡하고 집중적인 개입 수준을 지원함 |
West-Olatunji et al. (2011) | 학업적, 사회적, 행동적 어려움을 보이는 초등학생 600명 | ▪ 질적연구▪ 12주간 학급, 교사, 학생에게 지원 제공▪ 매주 직원 회의를 통한 학생의 요구 개념화▪ 12주간의 프로젝트 후 교사들의 의견 수집▪ 팀 구성: 전문 상담사 및 석사급 상담사* 5명, 교사, 가족, 학생 | ▪ 교사들은 자신의 직업에 대한 불안감 감소, 학생의 성적 및 태도에 관한 개선됨을 느낌 |
Yoe et al. (1996) | 12개월 이상 지역사회 기반 랩어라운드 케어에 등록된 7세~20세의 아동 및 청소년 40명 | ▪ 실험연구▪ 동일 집단 내 생활 환경 제한성 척도, 학교 배치, 적응 지표 체크리스트 사전 사후 점수 비교▪ 팀 구성: 아동, 기관(정신건강․사회복지 서비스, 교정, 직업재활, 교육), 보호자, 부모, 친척, 이웃, 성직자, 경찰관, 판사, 의사, 사례 관리자* | ▪ 거주지 배치 및 거주지 제한성의 지역사회 유지 비율이 58%에서 88%로 증가▪ 대안학교 및 정학 크게 감소▪ 외현화․내면화 행동, 학대 관련 행동 감소▪ 청소년과 학부모의 높은 서비스 만족도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