발달점 | 듣고 말하기와 언어 기능 간의 일치를 위한 조건 강화(에코익) |
설명 | 유아는 모델 앞에서 말소리를 냄, 강화물은 말소리 자체를 생성하는 것 |
프로토콜 및 참고문헌 | 에코익-맨드 훈련(Greer & Ross, 2008), 에코익-택트 훈련(Greer & Ross, 2008) |
약자 | Echoic |
발달점 | 생성(음성 또는 비음성)과 강화제 제공 간의 일치Correspondense between Production(vocal or non-vocal symbol) and Delivery of Reinforcement |
설명 | 유아는 관련 동기 상황에서 맨드를 나타냄 |
프로토콜 및 참고문헌 | 에코익-맨드 훈련(Greer & Ross, 2008), 화자집중훈련(Pistoljevic, Cahill, & Casarini, 2010) |
약자 | Mands |
발달점 | 생성(음성 또는 비음성)과 사회적 강화제 제공 간의 일치Correspondense between Production(vocal or non-vocal symbol) and Social Reinforcement |
설명 | 유아는 사회적 청자 강화 기능으로서 택트를 나타냄 |
프로토콜 및 참고문헌 | 에코익-맨드 훈련(Greer & Ross, 2008), 택트 집중 훈련 또는 사회적 청자 강화 설립 훈련(Eby & Greer, 2017; Delado & Oblak, 2007) |
약자 | Tacts |
발달점 | 맨드와 택트 간이 동기 조건 변환Transformation of Motivating Conditions Across Mands and Tacts |
설명 | 자극에 대한 택트를 학습한 후 추가 교육 없이동일한 자극에 맨드를 나타내거나 그 반대가 가능함 |
프로토콜 및 참고문헌 | 맨드와 택트 간이 동기 조건 변환(Nuzzolo-Gomez & Greer, 2004; Singer-Dudek, ParkLee & Lo, 2017) |
약자 | Transformation of MC across Mands and Tacts |
발달점 | 양방향 네이밍 Bidirectional Naming(BiN) |
설명 | 유아가 자극의 이름을 하나의 형식(청자 또는 화자)으로 배운 후, 또는직접적 교수없이 우발적 명명하기 경험을 가진 후 청자와 화자 반응을 나타냄 |
프로토콜 및 참고문헌 | Multiple Examplar Instruction(Fiorile & Greer, 2007; Gilic & Greer, 2009; Greer et al., 2011) |
약자 | BidirectionalNaming(BiN) |